추진배경
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
“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” 발표 (‘19.4.17.)
① 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
-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의 본격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 원전해체 분야 생태계 조성과 산업차원의 육성전략 필요
② 원전산업 생태계의 全주기 경쟁력 기반 구축
-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국내 원전해체도 본격화될 전망이며, 이에 대비하기 위해 기술역량과 산업기반을 선제적으로 구축할 필요
- 설계-건설-운영 등 先行주기 분야에 집중된 원전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해체-폐기물 관리 등 後行주기 분야로 확대 필요
③ 원전지역 신성장 동력 창출 및 경제 활력 제고
- 기원지원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R&D, 인력, 금융, 생태계, 제도기반 등 투자와 지원을 통해 지역 전문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
비전 및 육성전략
추진과제 및 실행계획 수립경위
- 추진과제
①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
②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 육성
③ 기업의 단계적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
④ 제도기반 구축
- 실행계획 수립 경위
추진일정 | 추진내용 |
---|---|
2019. 04. 17. | ‘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’ 발표 (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) |
2019. 07. 24. |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작성 지시 (민관협의회) |
2019. 09. 26. |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수립 1차 회의 (산업부 회의실) |
2019. 10. 18. | 각 기관 작성 실행계획 초안 접수 및 조정 |
2019. 11. 08. |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수립 2차 회의 (섬유센터) |
2020. 01. 30. | 각 기관 작성 실행계획 초안 접수 및 조정 |
2021. 01. 22 |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 수립 3차 회의 (원산협회) |
2021. 上 | 원전해체 산업 민관협의회 상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