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원전해체 전문교육 실행 로드맵’에 따른 해체사업 참여 조직원 역할에 맞는 사업관리 및 기술교육과정 구성
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 발표 (2019. 4. 17.)에 따른 국내 원전해체 분야 생태계 조성 및 기술역량과 산업기반 조성 유도
전문 과정 | 전문엔지니어 자격 | 각 기술별 현장실무 전문가 자격 부여 | 전문엔지니어 자격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해체계획수립 해체물량산정 비용평가 해체공정 방사선특성조사 피폭평가 |
화학제염 분사연마제염 초음파제염 플라즈마제염 전해연마제염 |
SAW절단 고압수절단 전단기절단 플라즈마절단 산소절단 원격정밀제어 3D 인터페이스 |
콘크리트감용 금속용융 폐기물안정화 특수폐기물처리 H3/C14처리 방사성측정 |
시료대표성평가 규제해제 방사능현장측정 부지재이용평가 최종부지상태평가 토양지하수복원 |
|
실무 과정 | 엔지니어 지원 자격 | 각 기술별 전문가 지원 자격 부여 | 부지복원 지원 자격 | ||
사업관리 엔지니어링 특성 평가 환경관리 방사선관리 |
계통제염 기기제염 콘크리트 제염 산업/작업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|
기계적 절단 열적/전기적 절단 원격제어 산업/작업 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|
고체액체기체 폐기물처리 특수폐기물처리 폐기물재활용 산업/작업 안전 해체원전정보 규제지침 |
잔류방사선측정 부지복원 부지 규제해제 |
|
기본 과정 | 해체사업 참여 자격 | 해체현장 출입/참여 자격 부여 | 해체사업 참여 자격 | ||
해체계획 개요 해체엔지니어링 산업/방사선안전 규제체계/요건 각종 평가/분석 |
제염/해체기술 폐기물 관리/감용 기술 규제지침/해체원전 정보 해체원전 상태 일반장비사용(호이스트 등) 유해/화학물질 취급 |
해체계획/개요 운영단계지침서 방사선방호 산업 및 작업안전 화재방호 비상조치/대피로 |
해체계획 개요 산업/방사선안전 규제체계/요건 각종 평가/분석 현장작업 |
||
구분 | 설계·인허가 | 제염 | 해체 | 폐기물 처리 | 부지복원 |
해체 전 단계 | 해체 단계 | 해체 후 단계 |
과정명 | 대상 | 주요 교육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해체사업 책임자과정 (연 1회, 6월) |
공공기관/중소기업 임원/관리자급 40여명 |
- 해체사업계획/개요 - 해체엔지니어링 - 규제지침/해체원전정보 - 해체제염기술 개요 |
강의식교육 (원산 평생교육원) |
해체사업 실무과정 (연 1회, 9월초) |
해체사업 진입희망 실무책임자급 40여명 |
- 계통·기기·콘크리트 등 제염 - 기계·열·전기 등 절단 - 원격제어 - 산업/작업 안전 - 고체·액체·기체 특수폐기물 - 해체원전정보/규제지침 |
KPS/두중 교육센터 방문연계 (무상교육) |
해체사업 전문과정 (연 1회, 10월) |
원산교육 기수료자 대상 40여명 |
- 해체물량산정/비용평가 - 해체공정 - 화학·분사·초음파 등 제염공정 - SAW·고압수·산소 등 절단공정 - 특수폐기물처리·안정화 등 |
해외강사 초빙 검토 |
현장교육 (연 1회, 11월) |
원산교육 기수료자 대상 20여명 |
- 해외 해체경험 사례 공유 - 해외 사업정보 교류 |
독일 칼스루어공대 (KIT) |
번호 | 제목 | 작성일 | ||
---|---|---|---|---|
등록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|